“한 달 월급으로 안정적으로 자취하려면, 예산표부터 만들어야 합니다.”
왜 예산표가 자취생에게 꼭 필요할까?
자취를 시작하면 예상치 못한 지출이 급증합니다. 배달, 전기세, 구독 서비스, 월세 외에도 소소하게 빠져나가는 돈들이 자산 형성을 방해하죠.
예산표는 지출 흐름을 시각화하여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저축률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특히 1인 가구는 모든 지출을 스스로 책임지므로 계획적인 지출 관리가 필수입니다.
2025년 평균 자취 생활비 구성 (서울 기준)
항목 | 월 평균 비용 | 비고 |
---|---|---|
월세 + 관리비 | 550,000원 | 보증금 1,000만 원 기준 |
식비 | 350,000원 | 배달 2회/주 기준 |
교통비 | 60,000원 | 대중교통 정기권 기준 |
통신비 | 30,000원 | 알뜰폰 요금제 기준 |
공과금(전기·수도·가스) | 80,000원 | 계절별 평균 |
여가/구독 서비스 | 40,000원 | 넷플릭스, 음악 앱 등 |
총합 | 1,110,000원 | 기본 생활비 기준 |
여기에 개인별 상황에 따라 저축, 비상금, 부업 투자비 등을 추가하면 월 130~150만 원 정도의 예산이 필요합니다.
생활비 예산 짤 때 꼭 고려해야 할 항목 5가지
- 1. 월 고정비(월세+관리비): 전체 예산의 40~50%를 차지합니다.
- 2. 식비: 배달 줄이고 장보기를 늘리면 최소 10만 원 절약 가능
- 3. 교통비: 정기권 또는 알뜰교통카드 활용
- 4. 통신비: 알뜰폰 이용 시 1~2만 원으로도 가능
- 5. 공과금: 전기/가스는 계절 따라 급변하므로 평균치 예산 반영
이 외에도 1회성 지출(생일, 이사, 가전 교체 등)을 고려한 예비 자금도 필요합니다.
예산표 구성 예시 (월급 230만 원 기준)
- ✅ 월세+관리비: 55만 원
- ✅ 식비: 35만 원
- ✅ 교통비: 6만 원
- ✅ 통신비: 2만 5천 원
- ✅ 공과금: 8만 원
- ✅ 저축: 50만 원
- ✅ 비상금 자동이체: 10만 원
- ✅ 여가비/기타: 25만 원
- 총합: 약 221만 5천 원
남는 8만 5천 원은 소액 투자 또는 이월 자금으로 활용합니다. 예산은 이렇게 “남기는 구조”로 짜는 것이 핵심입니다.
예산 관리 꿀팁
- 📌 자동이체: 저축·비상금은 월급일 다음 날 자동 이체
- 📌 체크카드: 생활비 통장과 연동해 지출 한도 설정
- 📌 가계부 앱 활용: 토스, 뱅크샐러드로 실시간 예산 관리
- 📌 구독 서비스 점검: 3개월마다 사용 여부 재확인
예산표는 ‘쓰지 말자’가 아니라 ‘얼마까지 써도 되는지 정해두는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월급이 적은데도 예산표가 필요할까요?
A1. 오히려 소득이 적을수록 필요합니다. 고정비 구조를 파악해야 저축 여력이 생깁니다.
Q2. 예상치 못한 지출은 어떻게 반영하나요?
A2. 매달 소액을 예비비 항목으로 따로 확보해두세요. (예: 월 5~10만 원)
Q3. 예산표는 매달 새로 짜야 하나요?
A3. 기본 구조는 유지하되, 분기별로 조정하며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습니다.